안녕하세요 AMS입니다:)
날이 많이 추워졌네요
항상 안전운전과
건강관리에 유념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포스트는 리콜과 무상수리(교체)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SM6와 말리부를 비교하다가
각 회사의
결함에 대한 조치를 보던 중
리콜과 무상수리라는 대목이 눈에 띄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잘 모르실 리콜과
무상수리의 차이점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콜과 무상수리의 공통점
공통점은
제작과정에서 생긴 결함을 제조사에서 책임수리하는 것
라는 것입니다
시행대상은
리콜
안전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결함
무상수리
소비자의 편의에 영향을 주는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일반적인 결함
(EX : 도장 불량, 조립 불량, 소모성 부품 불량)
법적 강제성
리콜
국토교통부에서 직접 조사 후 발표
제조사에 의무성과 강제성 부여
무상수리
제조사의 자발적 의지로 실시
소비자 공지
리콜
제조사가 소비자에게 직접 공지
개개인 소비자에게 직접 공지
공개적으로 결함에 대해 알려야함
무상수리
개개인에게 공지할 의무가 없음
무상수리 품목을 확인 후
서비스센터로 방문한 고객에게
한정하여 무상수리 실시
비용 보상
리콜
리콜을 실시하기 전에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수리를 실시후
리콜대상인걸 확인하면
비용청구 가능
무상수리
무상수리를 시행하기 전에
소비자가 자발적으로 수리를 해도
보상받을 수 없음
어이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말이죠
리콜과 무상수리
이렇게 확연한 차이가 납니다
리콜은 법적 강제성을 갖는 만큼
수동적이고
부정적이며 언론에 좋지 않은
기업이미지를 심어줄 뿐더러
기업경영에 타격을 입히기 쉽죠
무상수리는
긍정적인 이미지가 강합니다
자발적이며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인데요
그러나
리콜해야할 품목을 인정하지 않거나
무상수리로 대체한다고 하는
그런 자동차 회사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단순히 기업이미지만 갖고 차량을
구매하시면 안될거 같습니다
차량은 생명과도 직결되어있기 때문이죠
물론 제조공정이 완벽하게 마치고
완벽한 제품을 받아야함이 마땅하지만
사람이 조립하고 검수하는 과정에 실수가 없다면
말이 되지 않지요
그렇다고 판매대수에 비해 리콜대상이 많다
이것도 문제가 많은 것이지요
리콜한다고 해서 부정적인 생각만
할게 아니라 기업의 양심적인 선언을
조금만 생각하고 지지해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소비자의 안전을 나몰라라
내버려 두는 것보다는 훨씬
바람직하고 양심적이라 생각합니다
AMS였습니다:)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안전장치 VSM 차세대 차체자세제어장치 소개 (0) | 2017.06.06 |
---|---|
자동차 안전장치 차체자세제어장치 (VDC&ESP)의 기능과 효과? (0) | 2017.06.04 |
스파크 VS 모닝 전격비교! (0) | 2017.01.20 |
생애 첫 차로 어떤게 좋을까? - 준중형 세단 (0) | 2017.01.06 |
생애 첫 차로 어떤게 좋을까? - 경차 (0) | 2017.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