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자동차 타이어 구조와 트레드 패턴

안녕하세요 AMS입니다:)


마라토너에게 발이 중요하듯이 자동차에도 달리기 위해서는 타이어가 정말 중요한 요소인데요 타이어도 종류가 정말 많습니다

이런 타이어의 구조와 트레드라고 부르는 구성요소의 패턴에 대해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타이어의 구조를 잘 알아두면 타이어에 어떤 물체가 박혔거나 플랫 타이어가 됐을때 도움이 될 수 있을것 같아 자동차 타이어 구조와 트레드 패턴에 대해 준비 해봤습니다 



타이어의 구조 소개

타이어의 구조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다시피 고무 튜브 구조에 안에 공기압이 차있는 형식입니다 우리가 타이어를 사용할때 가장 중요한 타이어의 구성요소는 트레드라고 불리는 부분입니다

타이어 트레드는 쉽게 말하면 신발의 밑창과 같은 부분으로 지면과 직접 접촉해서 마찰되는 부분으로 마모가 됩니다 그래서 신경을 써야하는 부분입니다 

여담이지만 보통 트레드 윗 부분에 뾰족한 물체가 박혀도 주행에 크게 무리를 주지는 않지만 트레드의 옆 부분, 타이어의 옆구리라 불리는 부분에 무언가 박혔다면 타이어 땜질 보다는 교체를 권장합니다

타이어 그루브는 타이어 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타이어 홈은 홈의 모양에 따라 타이어 사용용도가 달라지고 빗물을 타고 흘러내리게 해 배수 작용도 하면서 적절한 마찰작용도 담당해 타이어의 지문과 같다 보시면 됩니다

타이어의 트레드마모 정도로 타이어 교체시기를 알 수 있는데요 타이어 트레드가 닳으면 닳을수록 교체할 때가 왔다는 증거입니다 

트레드의 마모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동전으로 트레드 홈에 집어넣어 동전의 모습이 많이 나오면 나올 수록 트레드 마모가 많이 진행됐다는 뜻이므로 타이어를 교체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트레드 패턴에 따른 타이어 구분 방법

타이어 트레드 패턴의 기능적인 역할은

1. 타이어 미끄러짐 방지 역할

2. 타이어 내부 열을 방출하는 역할

3. 구동력이나 선회성능을 향상시켜주는 역할

이 세가지 입니다

우리가 쉽게 볼 수 있는 트레드 패턴들은

리브 패턴, 러그 패턴, 리브러그패턴, 블럭패턴, 비대칭패턴 들로 살펴볼 수 있는데요



리브패턴

리브패턴은 회전 저항이 적고 좌우로 미끌어 지지않는 타이어 입니다 또 자동차가 직진할 때 안정성을 높여주고 노면소음을 줄여줍니다

그리고 비나 눈이 오는 경우 배수능력을 높여주는 역할도 하며 발열이 낮고 안정성과 조종성이 좋아 포장도로를 주행ㅎ하거나 고속주행에 적격인 타이어 트레드 패턴입니다 

러그패턴은 비포장 도로에서 제동력과 구동력, 견인력이 좋습니다 또 방열성도 좋다고 합니다만 대신 소음과 진동이 있다고 하네요 

그래서 고속도로용으로 적합하지 않고 비포장 전용 산업용 차량에 이용된다고 합니다

리브 러그 패턴은 리브패턴과 러브패턴의 장점들을 결합한 트레드 패턴으로 조종성과 안정성이 우수해서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 둘다 사용이 가능한 흔히 볼 수 있는 패턴입니다

하지만 리그 끝 부분과 홈 부분이 마모와 균열이 생기기 쉽다는 단점과 제동력과 구동력이 러그 패턴보다는 떨어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블록 패턴은 패턴이 아주 굵직굵직해 보입니다 그래서 겨울철에 자주 사용되는데요 구동력과 제동력, 견인력이 우수하고 미끄럼이 적게 발생해서 눈길이나 진흙길에 아주 좋다고 합니다 

단점으로는 지면에 닿는 면적이 넓어서 회전저항이 크고 마모도 빨리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비대칭 패턴은 지면과 접촉하는 힘이 균일하다는 게 특징입니다 특히 코너링을 할때 타이어의 바깥쪽 접지력을 높여주어서 고속 코너링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단점으로는 비대칭이다 보니 타이어를 장착할때 안쪽과 바깥쪽구분을 잘 해서 장착해줘야 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자동차 타이어 구조와 트레드 패턴에 따른 타이어 종류들을 살펴봤습니다 우리도 신발을 용도와 기능에 맞게 신듯이 자동차도 주행 습관과 기능, 그리도 용도에 맞게 장착해주는 건 어떨까합니다 

이번 포스트를 참고하셔서 용도에 맞게 알맞은 타이어를 사용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